본문 바로가기

공간4

미국의 창고 문화와 한국의 스타트업 그리고 창조경제 최근 들어 스타트업에서 미국은 무엇이 다를까 하는 생각을 종종 하게 된다. 그리고 느끼는 나의 결론은 이건 기술의 문제가 아니라 문화의 문제라는 것이다. 미국이 가지는 창업에 대한 문화 말이다. 한번 해볼까? 하는 문화. 그 문화의 중심에는 차고가 있다. 땅이 넓다 보니 집마다 있는 차고는 단순히 차만 넣어두는 곳이 아니라 집의 방에서 하지 못하는 평범한 것에서 조금 벗어난 것들을 할 수 있는 훌륭한 실험실과 공장이 되었다. HP도 애플도 아마존도 구글도... 그리고 수많은 기업들이 그렇게 자신만의 색을 차고를 통해서 만들어간다. - 관련 기사[슈퍼리치] 세상을 바꾼 창업자들, 첫 사옥은 '차고'였다(링크) 그렇다면 한국은 어떨까? 그런 거 없다. .. 2017. 1. 16.
자동차에 불어오는 스마트 시대의 흐름 - 분리와 합체 스마트 기기에서 한동안 분리와 합체는 뭔가 이뤄야 할 과제 같았다. 스마트폰의 AP는 날이 갈수록 성능이 좋아지면서 더 많은 것을 할 수 있게 되는데 이때 오는 불편함이 바로 화면의 크기와 배터리다. 화면의 크기는 정보의 표시량을 결정하고 배터리는 사용 시간을 결정한다. 성능에 걸맞은 쓰임새를 더하려면 이 둘의 해결이 반드시 되어야 했다. 그리고 많은 기업이 이것을 합체에서 찾았다. 이동성을 강화할 때는 분리해서 생산성을 강화할 때는 합체해서 사용하는 것으로 말이다. 의도대로 풀리면 참 좋았다. 하지만 두 마리 토끼를 다 잡기 위해서는 두 마리 다 들고 다녀야 했다. 이는 번거로운 일이다. - 관련 기사"자동차는 제2의 스마트폰"..車로 달려드는 IT기업들(링크) 하지만 자동차는 다르다. 자동차는 이동 .. 2016. 4. 4.
공간과 UX의 배려 - 카카오 스토리 모바일 버전과 PC 버전 공간과 UX의 관계는 서로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공간의 배치가 이상하면 당연히 이동에 불편함이 생기고 이는 부정적인 경험을 만든다. 이것은 우리가 건물의 배치 또는 매장이 배치뿐만 아니라 웹이나 모바일 화면에서도 마찬가지다. 나의 시선의 이동이 내가 원하는 곳으로 이동하는데 얼마나 거침없이 직관적으로 가는가? 이런 측면에서 말이다. IT 서비스에서 주로 이 부정적 UX의 원인은 광고다. 최근 많은 서비스가 무료로 제공되고 있다. 하지만 생각해보자. 돈을 안 내는데 쓰고 있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 어딘가를 통해서 그만한 대가가 있기 때문에 이 관계는 유지되는 것이다. 서비스 제공자가 수익을 내기 위한 수단이 바로 광고다. 광고에는 많은 형식이 있지만, 우리가 시각적으로 정보를 습득하기에 가장 많은 .. 2014. 12. 8.
애플의 도어락 - M2M 시대의 두 번째 두뇌들 애플은 자사의 제품군에 새로운 제품을 하나 더 추가하기로 한다. 바로 도어락이다(직접 제조는 아니다). 관련 기사 - 애플, 도어록 시장 진출..파장 예고?(링크) 이 도어락 하나가 지니는 의미는 단순히 도어락을 뛰어넘는다. 이 물건은 또 다른 '두뇌'이기 때문이다. 우리의 삶은 공간에 영향을 받는다. 사무실이면 업무를 한다. 독서실이면 공부를 한다. 주방이면 요리를 한다. 그런 개념들이 공간에 녹아 있고 우리는 그런 공간에서 의도된 바를 한다. 그런데 기존에는 이것을 규정할 것이 없었다. 내가 주방에 왔다고 스마트 기기에 주방, 서재에 왔다고 서재 이렇게 입력하는 것은 너무나 귀찮다. 바로 이런 개념의 연장선에서 이번 애플의 도어락이 있다. 바로 집이라고 알려주는 것이다. GPS의 신호가 없어도 내가 .. 2014. 10.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