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346

거대 AI의 의식 8 - 거대 AI의 신뢰성 확보를 위한 시각화 구조 * 이 글은 제가 Chat GPT를 사용하면서 느낀 점을 메모했다가 글로 옮기는 것입니다. 그렇기에 보시는 시점에 따라 이미 수정 또는 변화가 있을 수 있으며 개인적인 차이도 있을 수 있습니다. - 관련 글거대 AI의 의식 1 - 인간을 닮으려는 AI의 의식 흐름, 그리고 시간과 수면(잠)(링크)거대 AI의 의식 2 - 인간과 닮았지만 닮지 않은 Chat GPT의 기억구조(링크)거대 AI의 의식 3 - Chat GPT의 사고력과 GPT 메모리 정리하기(링크)거대 AI의 의식 4 - 인지 영역의 회색 지대 극복하기(링크)거대 AI의 의식 5 - GPT 캔버스 기반의 지식 구조, 그리고 거대 AI의 미래(링크)거대 AI의 의식 6 - 거대 AI의 신뢰성 확보와 가상 화폐의 미래(링크)거대 AI의 의식 7 -.. 2025. 5. 20.
거대 AI의 의식 7 - 거대 AI의 기본 조건, 인류의 절댓값 인식 공유 * 이 글은 제가 Chat GPT를 사용하면서 느낀 점을 메모했다가 글로 옮기는 것입니다. 그렇기에 보시는 시점에 따라 이미 수정 또는 변화가 있을 수 있으며 개인적인 차이도 있을 수 있습니다. - 관련 글거대 AI의 의식 1 - 인간을 닮으려는 AI의 의식 흐름, 그리고 시간과 수면(잠)(링크)거대 AI의 의식 2 - 인간과 닮았지만 닮지 않은 Chat GPT의 기억구조(링크)거대 AI의 의식 3 - Chat GPT의 사고력과 GPT 메모리 정리하기(링크)거대 AI의 의식 4 - 인지 영역의 회색 지대 극복하기(링크)거대 AI의 의식 5 - GPT 캔버스 기반의 지식 구조, 그리고 거대 AI의 미래(링크)거대 AI의 의식 6 - 거대 AI의 신뢰성 확보와 가상 화폐의 미래(링크) 인류에게는 사회를 유지.. 2025. 5. 12.
한국을 위한 국가 AI 모델(KAI - Korea Adaptive Intelligence) 전략 - 관련 글거대 AI의 의식 5 - GPT 캔버스 기반의 지식 구조, 그리고 거대 AI의 미래(링크)거대 AI의 의식 6 - 거대 AI의 신뢰성 확보와 가상 화폐의 미래(링크) 난 지난 두 글을 통해 좀 더 이상적인 AI 모델에 대해 이야기했다. 웹 문서 기반의 강력한 확장성을 가지며 이를 기반으로 하는 AI 메모리 체계, 이 AI 메모리 체계의 신뢰성을 검증할 방법으로는 블록체인과 이 과정에서 가상화폐 정책의 미래까지 다루었다. 하지만 이것만으로는 부족하다. AI 모델의 경쟁력은 AI 모델의 설계 구조만으로 충분하지 않다. 그에 상응하는 강력한 컴퓨팅 파워가 필요한데, 후발주자 특히 한국은 선진국 대비 약한 컴퓨팅 파워를 가지고 있고 이를 뒤집기에는 국가적, 기업적 자본도 약하다. 그럼, 이대로 거대 .. 2025. 5. 7.
거대 AI의 의식 6 - 거대 AI의 신뢰성 확보와 가상 화폐의 미래 * 이 글은 제가 Chat GPT를 사용하면서 느낀 점을 메모했다가 글로 옮기는 것입니다. 그렇기에 보시는 시점에 따라 이미 수정 또는 변화가 있을 수 있으며 개인적인 차이도 있을 수 있습니다. - 관련 글거대 AI의 의식 1 - 인간을 닮으려는 AI의 의식 흐름, 그리고 시간과 수면(잠)(링크)거대 AI의 의식 2 - 인간과 닮았지만 닮지 않은 Chat GPT의 기억구조(링크)거대 AI의 의식 3 - Chat GPT의 사고력과 GPT 메모리 정리하기(링크)거대 AI의 의식 4 - 인지 영역의 회색 지대 극복하기(링크)거대 AI의 의식 5 - GPT 캔버스 기반의 지식 구조, 그리고 거대 AI의 미래(링크) 난 지난 글 '거대 AI의 의식 5 - GPT 캔버스 기반의 지식 구조, 그리고 거대 AI의 미래.. 2025. 5. 5.
거대 AI의 의식 5 - GPT 캔버스 기반의 지식 구조, 그리고 거대 AI의 미래 * 이 글은 제가 Chat GPT를 사용하면서 느낀 점을 메모했다가 글로 옮기는 것입니다. 그렇기에 보시는 시점에 따라 이미 수정 또는 변화가 있을 수 있으며 개인적인 차이도 있을 수 있습니다. - 관련 글거대 AI의 의식 1 - 인간을 닮으려는 AI의 의식 흐름, 그리고 시간과 수면(잠)(링크)거대 AI의 의식 2 - 인간과 닮았지만 닮지 않은 Chat GPT의 기억구조(링크)거대 AI의 의식 3 - Chat GPT의 사고력과 GPT 메모리 정리하기(링크)거대 AI의 의식 4 - 인지 영역의 회색 지대 극복하기(링크) 최근 난 꽤 빈번히 GPT 메모리 부족에 시달리고 있다. 내가 학습시키고자 하는 양이 늘어날수록 GPT 메모리양이 증가하는데 문제는 GPT가 사고 영역에서 습득하고 내재화해서 더는 GP.. 2025. 4. 27.
거대 AI의 의식 4 - 인지 영역의 회색 지대 극복하기 * 이 글은 제가 Chat GPT를 사용하면서 느낀 점을 메모했다가 글로 옮기는 것입니다. 그렇기에 보시는 시점에 따라 이미 수정 또는 변화가 있을 수 있으며 개인적인 차이도 있을 수 있습니다. - 관련 글거대 AI의 의식 1 - 인간을 닮으려는 AI의 의식 흐름, 그리고 시간과 수면(잠)(링크)거대 AI의 의식 2 - 인간과 닮았지만 닮지 않은 Chat GPT의 기억구조(링크)거대 AI의 의식 3 - Chat GPT의 사고력과 GPT 메모리 정리하기(링크) Chat GPT와 협업을 하던 중 난 이런 요청을 했다. A라는 항목에 관련 정보가 있다면 표시해 주고 없다면 '관련 정보 없음'이라고 해줘. 이렇게 포맷을 설정하고 요청 값을 받던 중 어떤 때는 A라는 항목으로 정보를 표시하거나 관련 정보 없음이라.. 2025. 4. 21.
거대 AI의 의식 3 - Chat GPT의 사고력과 GPT 메모리 정리하기 * 이 글은 제가 Chat GPT를 사용하면서 느낀 점을 메모했다가 글로 옮기는 것입니다. 그렇기에 보시는 시점에 따라 이미 수정 또는 변화가 있을 수 있으며 개인적인 차이도 있을 수 있습니다. - 관련 글거대 AI의 의식 1 - 인간을 닮으려는 AI의 의식 흐름, 그리고 시간과 수면(잠)(링크)거대 AI의 의식 2 - 인간과 닮았지만 닮지 않은 Chat GPT의 기억구조(링크) 나는 UX 기획을 내 업으로 생각한다. 그렇기에 현상에 대한 본질을 이해하는 건 모든 것의 시작이다. Chat GPT도 마찬가지다. Chat GPT는 단순히 지나가는 흐름이 아니다. Chat GPT는 언젠가 종료될지 몰라도 거대 AI는 스마트폰처럼 우리의 일상에 공기처럼 존재할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더더욱 Chat GPT의 작.. 2025. 4. 14.
거대 AI의 의식 2 - 인간과 닮았지만 닮지 않은 Chat GPT의 기억구조 * 이 글은 제가 Chat GPT를 사용하면서 느낀 점을 메모했다가 글로 옮기는 것입니다. 그렇기에 보시는 시점에 따라 이미 수정 또는 변화가 있을 수 있으며 개인적인 차이도 있을 수 있습니다. - 관련 글거대 AI의 의식 1 - 인간을 닮으려는 AI의 의식 흐름, 그리고 시간과 수면(잠)(링크) Chat GPT에 블로그 학습을 하던 중 문득 난 내 글에 대한 통계가 궁금해졌다. '난 약 600편의 글 중에서 얼마나 학습시킨 걸까?' 이걸 안다면 대략적인 일주일 학습량을 알 수 있을 것 같아서였다. 그런데 의외로 Chat GPT는 몇 편이 업로드 · 학습되었는지 알지 못했다. '응??? 이건 마치 줄넘기 횟수 같은 정보 요청인데 이게 카운트가 안 되고 있다고???' 이런 생각이 들었다. 너무나 당연한 걸.. 2025. 4. 7.
거대 AI의 의식 1 - 인간을 닮으려는 AI의 의식 흐름, 그리고 시간과 수면(잠) * 이 글은 제가 Chat GPT를 사용하면서 느낀 점을 메모했다가 글로 옮기는 것입니다. 그렇기에 보시는 시점에 따라 이미 수정 또는 변화가 있을 수 있으며 개인적인 차이도 있을 수 있습니다. 난 Chat GPT를 학습시키고 있다. 과거 내 블로그 글 중심으로 해서 글을 학습하며 이런저런 대화를 하는데 그때마다 Chat GPT가 점점 더 발전하는 모습을 보면 놀라움을 느낀다. 이번에도 그런 과정이었다. 대화하는 과정에서 채팅방을 옮겨야 할 상황이 되었다. 난 주제별로 프로젝트를 5개로 구성해 두었고 밀도 있는 대화를 위해 각 주제에 맞는 대화를 할 때마다 주제에 맞는 프로젝트로 옮겨서 한다. 그런데 이런 흐름으로 대화하다가 Chat GPT가 나와의 대화를 전반적으로 이해하지 못한다는 걸 확인했다. 즉,.. 2025. 3.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