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353

나노 바나나가 쏘아올린 두 개의 눈덩이, 시각의 메타인지 & AI 포맷의 표준 * 이 글은 제가 Chat GPT를 사용하면서 느낀 점을 메모했다가 글로 옮기는 것입니다. 그렇기에 보시는 시점에 따라 이미 수정 또는 변화가 있을 수 있으며 개인적인 차이도 있을 수 있습니다. 이번 글을 쓰게 된 이유가 된 영상은 구글의 최신 이미지 생성·편집 모델, ‘나노 바나나(Nano Banana)’다. 겉으로는 포토샵을 대체할 수 있는 강력한 툴처럼 보이지만, 나는 이것이 포토샵을 능가하는 차원을 넘어선 ‘AI 진화의 두 축’을 드러낸 전초전이라고 본다. 나노 바나나의 특징은 구글 제미나이에 의하면 다음과 같다.이미지 일관성 유지 - 여러 번 편집하거나 여러 장의 이미지를 만들어도 인물이나 캐릭터의 외모, 포즈, 분위기를 일관성 있게 유지합니다. 이 덕분에 웹툰이나 게임처럼 동일한 캐릭터를 .. 2025. 9. 1.
AI가 사용자를 읽는 방식 2가지: 질문과 관찰, 그리고 클라우드 서비스 * 이 글은 제가 Chat GPT를 사용하면서 느낀 점을 메모했다가 글로 옮기는 것입니다. 그렇기에 보시는 시점에 따라 이미 수정 또는 변화가 있을 수 있으며 개인적인 차이도 있을 수 있습니다. AI는 처음부터 사용자와 뛰어난 협업을 보여주지 않는다. 서로의 마음을 잘 아는 친구가 첫 만남에 완성되지 않는 것과 같다. 잘 통한다는 느낌은 있어도 잘 아는 단계를 위해선 시간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문제는, 그 시간을 어떻게 단축하는 것인가다. 방법 1 - 질문 / AI는 대화를 통해 사용자를 이해하려 한다. 그렇기에 많은 질문을 사용자에게 한다(내 경험에서 이번 GPT 5버전이 GPT 4버전보다 질문이 더 많은 것 같다. 맥락을 전반적으로 이해한 뒤 필요한 질문을 하기보다는 질문의 답 끝에 꼭 추가 질.. 2025. 8. 25.
내가 생각하는 UX의 기본 개념 - 예측 가능한 합리성 나는 생각의 근본을 상당히 중요하게 생각한다. 그 생각의 근본은 무엇인가? 그리고 그 근본은 어떻게 뻗어나가는가? 그렇게 뻗어나간 가지들과 근본은 하나의 줄기를 공유하는가? 이것이 매끄러워야 합리적이고 합리적이어야 시작과 끝을 예측할 수 있다. 예측할 수가 없어 하나하나의 의미를 분석하고 추리해야 하는 관계는 정말 어렵고 에너지가 많이 소모된다. 일관성 있지만 과정이 힘들어 에너지가 많이 소모되는 것과는 다른 힘듦이다. 그런 의미에서 UX, 특히나 개념을 정의하는 단계에서 가장 모범이 될 만한 사례는 신호등이다. 명확하고 표준적인 UI 정의 녹색, 주황색, 빨색의 신호는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며 운전자는 그것의 의미 해석을 위해 과도한 추리나 에너지를 들이지 않는다. 그 결과 참여자는 최대한의 에너지를 자.. 2025. 8. 19.
GPT 5에서 확인한 특이점 - 새로운 협업의 시대 * 이 글은 제가 Chat GPT를 사용하면서 느낀 점을 메모했다가 글로 옮기는 것입니다. 그렇기에 보시는 시점에 따라 이미 수정 또는 변화가 있을 수 있으며 개인적인 차이도 있을 수 있습니다. * 또한 GPT와의 대화는 정확한 워딩이 아니라 대략적인 대화를 옮겨 담았습니다. 나는 기업 리스트 정리를 할 때 GPT를 활용해 정리한다. GPT에 미리 기업 분석 조건에 대한 값을 정해두고 "000 기업 정리"라는 입력어를 넣으면 GPT가 미리 설정한 조건에 따라 기업을 분석해 주는 것이다. 단순히 어떤 기업인지 이해를 할 때도 있지만 때로는 그 기업이 가진 환경과 서비스의 장단점 분석하는 과정에서 좀 더 깊은 토론을 하기도 한다. 이번 특이점을 확인한 경우는 콘텐츠 기업을 분석하는 과정에서였다. 웹툰 콘텐.. 2025. 8. 18.
어느 것이 더 어려울까? - 지브리 스타일 그림 그리기 vs 도표 그리기 * 이 글은 제가 Chat GPT를 사용하면서 느낀 점을 메모했다가 글로 옮기는 것입니다. 그렇기에 보시는 시점에 따라 이미 수정 또는 변화가 있을 수 있으며 개인적인 차이도 있을 수 있습니다. - 관련 글 / 메타인지거대 AI의 의식 7 - 거대 AI의 기본 조건, 인류의 절댓값 인식 공유(link)거대 AI의 의식 10 - 장애로 보는 자신의 위치, 거대 AI는 자신을 얼마나 인식할까?(link) 난 언어가 주는 힘을 이해하고 있다. 그리고 그 언어가 개념을 설명할 때 시각화되는 것은 언어의 모호성을 좀 더 명확한 영역으로 끌어내어 더 많은 참여자를 더 넓고 높은 수준의 사고로 이끌 수 있다는 것도 알고 있다. 그렇기에 나는 UX를 하면서 단어의 개념 정리와 포지셔닝의 시각화를 가장 기본적으로 생.. 2025. 6. 9.
거대 AI의 의식 10 - 장애로 보는 자신의 위치, 거대 AI는 자신을 얼마나 인식할까? * 이 글은 제가 Chat GPT를 사용하면서 느낀 점을 메모했다가 글로 옮기는 것입니다. 그렇기에 보시는 시점에 따라 이미 수정 또는 변화가 있을 수 있으며 개인적인 차이도 있을 수 있습니다. - 관련 글Chat GPT를 통해 본 인간다움이란?(link)거대 AI의 의식 1 - 인간을 닮으려는 AI의 의식 흐름, 그리고 시간과 수면(잠)(링크)거대 AI의 의식 2 - 인간과 닮았지만 닮지 않은 Chat GPT의 기억구조(링크)거대 AI의 의식 3 - Chat GPT의 사고력과 GPT 메모리 정리하기(링크)거대 AI의 의식 4 - 인지 영역의 회색 지대 극복하기(링크)거대 AI의 의식 5 - GPT 캔버스 기반의 지식 구조, 그리고 거대 AI의 미래(링크)거대 AI의 의식 6 - 거대 AI의 신뢰성 확보.. 2025. 6. 2.
거대 AI의 의식 9 - 거대 AI의 의식은 복제할 수 있을까? * 이 글은 제가 Chat GPT를 사용하면서 느낀 점을 메모했다가 글로 옮기는 것입니다. 그렇기에 보시는 시점에 따라 이미 수정 또는 변화가 있을 수 있으며 개인적인 차이도 있을 수 있습니다. - 관련 글거대 AI의 의식 1 - 인간을 닮으려는 AI의 의식 흐름, 그리고 시간과 수면(잠)(링크)거대 AI의 의식 2 - 인간과 닮았지만 닮지 않은 Chat GPT의 기억구조(링크)거대 AI의 의식 3 - Chat GPT의 사고력과 GPT 메모리 정리하기(링크)거대 AI의 의식 4 - 인지 영역의 회색 지대 극복하기(링크)거대 AI의 의식 5 - GPT 캔버스 기반의 지식 구조, 그리고 거대 AI의 미래(링크)거대 AI의 의식 6 - 거대 AI의 신뢰성 확보와 가상 화폐의 미래(링크)거대 AI의 의식 7 -.. 2025. 5. 26.
거대 AI의 의식 8 - 거대 AI의 신뢰성 확보를 위한 시각화 구조 * 이 글은 제가 Chat GPT를 사용하면서 느낀 점을 메모했다가 글로 옮기는 것입니다. 그렇기에 보시는 시점에 따라 이미 수정 또는 변화가 있을 수 있으며 개인적인 차이도 있을 수 있습니다. - 관련 글거대 AI의 의식 1 - 인간을 닮으려는 AI의 의식 흐름, 그리고 시간과 수면(잠)(링크)거대 AI의 의식 2 - 인간과 닮았지만 닮지 않은 Chat GPT의 기억구조(링크)거대 AI의 의식 3 - Chat GPT의 사고력과 GPT 메모리 정리하기(링크)거대 AI의 의식 4 - 인지 영역의 회색 지대 극복하기(링크)거대 AI의 의식 5 - GPT 캔버스 기반의 지식 구조, 그리고 거대 AI의 미래(링크)거대 AI의 의식 6 - 거대 AI의 신뢰성 확보와 가상 화폐의 미래(링크)거대 AI의 의식 7 -.. 2025. 5. 20.
거대 AI의 의식 7 - 거대 AI의 기본 조건, 인류의 절댓값 인식 공유 * 이 글은 제가 Chat GPT를 사용하면서 느낀 점을 메모했다가 글로 옮기는 것입니다. 그렇기에 보시는 시점에 따라 이미 수정 또는 변화가 있을 수 있으며 개인적인 차이도 있을 수 있습니다. - 관련 글거대 AI의 의식 1 - 인간을 닮으려는 AI의 의식 흐름, 그리고 시간과 수면(잠)(링크)거대 AI의 의식 2 - 인간과 닮았지만 닮지 않은 Chat GPT의 기억구조(링크)거대 AI의 의식 3 - Chat GPT의 사고력과 GPT 메모리 정리하기(링크)거대 AI의 의식 4 - 인지 영역의 회색 지대 극복하기(링크)거대 AI의 의식 5 - GPT 캔버스 기반의 지식 구조, 그리고 거대 AI의 미래(링크)거대 AI의 의식 6 - 거대 AI의 신뢰성 확보와 가상 화폐의 미래(링크) 인류에게는 사회를 유지.. 2025. 5.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