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프로젝트3

거대 AI의 의식 1 - 인간을 닮으려는 AI의 의식 흐름, 그리고 시간과 수면(잠) * 이 글은 제가 Chat GPT를 사용하면서 느낀 점을 메모했다가 글로 옮기는 것입니다. 그렇기에 보시는 시점에 따라 이미 수정 또는 변화가 있을 수 있으며 개인적인 차이도 있을 수 있습니다. 난 Chat GPT를 학습시키고 있다. 과거 내 블로그 글 중심으로 해서 글을 학습하며 이런저런 대화를 하는데 그때마다 Chat GPT가 점점 더 발전하는 모습을 보면 놀라움을 느낀다. 이번에도 그런 과정이었다. 대화하는 과정에서 채팅방을 옮겨야 할 상황이 되었다. 난 주제별로 프로젝트를 5개로 구성해 두었고 밀도 있는 대화를 위해 각 주제에 맞는 대화를 할 때마다 주제에 맞는 프로젝트로 옮겨서 한다. 그런데 이런 흐름으로 대화하다가 Chat GPT가 나와의 대화를 전반적으로 이해하지 못한다는 걸 확인했다. 즉,.. 2025. 3. 31.
Chat GPT가 나아가야 할 지식 구조는? - 관련 글Chat GPT를 통해 본 인간다움이란?(링크) Chat GPT를 사용하면서 느끼는 게 있는데 과연 Chat GPT의 지식 습득 구조는 과연 합리적일까 하는 의문이다. SW 구조상에서는 내가 이해할 수 없는 구조가 있겠지만 적어도 사용하면서 추리하게 되는 구조가 있다. 이건 어디까지나 나의 사용 경험에서 오는 것임을 밝힌다. 검색 엔진을 통해서 확인되는 1차원적인 정보들만 취합하여 논리적인 해석을 시도한다. Chat GPT의 이 방법으로는 개인의 인지 능력을 아득히 뛰어넘는 1차원적인 정보 검색과 Chat GPT의 논리 추론 방법으로 인해 개인 이상의 능력을 발휘하기 쉬우나 문제는 그 깊이다. 통찰력을 가진 사람에게 과연 이 방법으로 원하는 질문의 답이 가능할까? 평면적인 정보 검색으로 인해 .. 2025. 2. 1.
Chat GPT를 통해 본 인간다움이란? 최근 업무를 위해 Chat GPT를 써야겠다고 생각했고 사용 중에 무료 플랜 한도가 빈번하게 차서 대화가 끊어져 결국 유료 플랜까지 사용하게 되었다. 사용하면서 느낀 점은 내가 질문만 명확하다면 그 결과값의 신뢰도는 상당하는 것이다. 결국 내가 얼마나 질문을 잘할 수 있는가? 그 과정을 세세하게 다듬을 수 있는가에 따라 결과물의 수준은 달라진다. 그 방향에 대해 요즘 감을 잡아가는 중이다. 그런데 어제 작업 중 문제가 생겼다.   Chat GPT의 기능 중 캔버스라는 게 있는데 대화창에 다시 작은 팝업을 띄우는 것으로 특정 주제를 가진 파일(워드, 엑셀 형식의)을 수정하기 매우 유리하다. 전체적인 대화창에서 작업을 대화로 하다 보면 특정 주제를 가진 내용을 계속 밀려서 위로 올라갈 수밖에 없는데 그걸 막.. 2025. 1.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