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구글115

AI 전쟁에서 반복되는 넷스케이프 vs 익스플로러의 역사 인터넷 브라우저 넷스케이프가 있었다. 월드 와이드 웹의 태동기와 함께 시작한 브라우저이며 1995~1996년 당시에는 표준과 같은 존재였다. 하지만 MS는 인터넷 시대를 강하게 인지했고 그 과정에서 브라우저의 역할을 놓치지 않았다. 인터넷 게이트웨이로서 브라우저를 인식했다면 어떻게든 이겨야 했다. MS는 자사 OS 윈도 95 플러스팩에 끼워넣기 시작하더니 윈도 98에는 본격적인 쐐기를 박았다. 무료로 인해 확장되는 규모의 경제를 유료인 넷스케이프는 결국 감당할 수 없었고 시장의 승자는 MS 익스플로러가 되었다. "> MS는 이렇듯 자신이 가지고 있는 것을 100% 활용하며 그 과정에서 먹는 욕쯤은 가볍게 무시한다. 그만큼 어떤 핵심 서비스의 게이트웨이가 된다는 건 그거 자체가 경쟁력이고 권력이다. 그렇다.. 2025. 3. 16.
지금 유튜브를 휩쓸고 있는 근본없는 망 사용료 관련 콘텐츠들 최근 굉장히 기이한 영상을 봤다. 보면서... 이걸 지금 주장이라고 하는 건가? 싶었다. 그 정도로 기이했다. - 유튜버: 인지웅K-pop idol trainer / 한국이 중국이 된다? 망사용료 소신 발언 해봅니다(링크) 보면서도 그 논리의 도약이 굉장했는데 그에 달린 댓글을 보니 더 가관이었다. 댓글의 대부분이 더러운 통신사 놈들과 그 통신사 놈들에 기생하는 정치인 놈들! 이런 소신 있는 말씀 감사합니다! 이런 부류였다. 영상만큼이나 기가 찼다. 그리고 유튜브에서 이런 식의 중립을 가정하면서 궤변을 늘어놓거나 해야 할 말을 빼고 하는 영상들이 넘쳐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 정도면 광기다. 선동과 광기의 만남 그 자체다. 1. 거대 플랫폼 조세회피 - 관련 기사 앱마켓 수수료로 수조원 버는 구글 ".. 2022. 10. 9.
노치라는 계륵, 돌고 돌아온 생태계 전략 - LG전자 G7 - 관련 기사"써보면 안다"..LG G7 씽큐, 체험 마케팅 시동(링크) - 관련 글G와 V를 통해 보여준 G6 그리고 LG전자의 미래(링크)LG G5의 부진보다 더 무서운 현실 - 믿음이 사라진 플랫폼 기업의 미래(링크)더 큰 꿈을 꾼다 - LG G5(링크)LG전자 V10이 보여주는 LG전자의 한계 - 지금은 있지만 미래는 없는 제품(링크)LG전자 G4 - 지금은 있지만 미래는 없는 제품(링크)LG전자 G3의 2014 선택(링크)LG전자의 자신감 G2에 대한 4가지 측면(링크) 계륵: 닭의 갈비뼈. 먹을 것은 없지만 버리기는 아까운 그런 존재. 애플은 화면의 크기를 극대화하기 위해 빈공간을 남겨두느니 일단 화면으로 다 덮어버리자는 판단을 한다. 그리고 결국 실행한다. 덕분에 아이폰X는 M자형 탈모를 얻.. 2018. 5. 7.
음성인식 UX의 완성도를 높이는 시작점 - 음성 테스트 UX - 관련 기사스마트스피커 '춘추전국'..'AI강자' 中 바이두도 뛰어들어(링크)"스마트 스피커는 트로이 목마와 같다"(링크) - 관련 글음성 AI 시대의 참새방앗간에 진출한 애플의 AI 스피커 - HomePod(링크)IoT 시대에 근간이 될 개념 - SCP(Smart Connected Products)(링크)스마트워치 부흥의 디딤돌, 홈 AI 서비스(링크)삼성전자의 음성인식 투트랙 전략에서 보이는 어두운 기운(링크) 현재 스마트 스피커 시장은 뜨겁다. 그야말로 핫한 시장이다. 이전의 글에서도 적었듯이 어느 날 갑자기 벼락처럼 모든 사람의 삶 속에 파고드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다. 낯선 것은 망설임을 낳고 망설임은 시장 확대의 적이다. 그렇기에 익숙함을 무기로 스며드는 것이 필요하다. 현재의 스마트폰.. 2017. 12. 11.
음성 AI 시대의 참새방앗간에 진출한 애플의 AI 스피커 - HomePod - 관련 기사 말 잘 듣는 AI비서, 음성인식 AI스피커 대전 '후끈'(링크)AI 스피커 전쟁 '볼륨 업'(링크)애플까지 뛰어들어.. 전쟁터 된 스마트홈 시장(링크) - 관련 글IoT 시대에 근간이 될 개념 - SCP(Smart Connected Products)(링크)스마트워치 부흥의 디딤돌, 홈 AI 서비스(링크)삼성전자의 음성인식 투트랙 전략에서 보이는 어두운 기운(링크) 드디어 애플도 AI 스피커를 내놓았다. AI 스피커는 이제 IT 플랫폼 기업이 피해갈 수 없는 곳이 되었다. 단순하고 간단한 상거래, 기기제어, 검색, 음성 및 문자 메시지 전달 등 다양한 명령을 실행할 수 있는 수단이자 인간이 가장 대중적으로 사용하는 콘텐츠인 음악의 재생 도구로서 청각적 콘텐츠 소비 도구의 성격을 모두 가지고 .. 2017. 6. 19.
망 중립성과는 조금 다른 이야기 - 캐시 서버 - 관련 글[알아봅시다] 캐시서버가 뭐길래.. 페이스북 뭇매 맞은 이유(링크)페이스북 해명, "SK 서버 강요하지 않아.. 이용자 속도 저하는 언론 보도로 알아"(링크) 최근 유튜브와 페이스북, 특히 페이스북이 심하게 느려지는 현상을 종종 겪었다. 난 이게 무슨 문제인지도 모르다가 인제야 그 이유를 알게 되었다. 콘텐츠 업체가 최근 동영상을 서비스의 주력으로 하고 있는 것은 누구나 알 수 있는 사실이다. 유튜브가 480p 화질로 제공하던 것이 어느새 720p를 넘어서 1080P, 4K까지 높이고 있다. 페이스북도 그에 맞춰 HD 화질을 기본으로 제공하려 하고 있다. 당연하지만 화질이 올라가면 용량도 늘어난다. 이 말은 처리해야 할 서버도 바빠진다는 이야기다. 이제 문제는 이 해결의 주인공이 누가 되느냐가.. 2017. 6. 12.
갤럭시 S8과 Dex를 위해 필요한 조각, 에버노트 - 관련 기사삼성전자의 갤럭시S8 출시.. 혁명보다 '혁신' 선택(링크) - 관련 글삼성전자의 음성인식 투트랙 전략에서 보이는 어두운 기운(링크)갤럭시 노트 7의 새로운 보안 기술의 UX적 가치는?(링크) 삼성전자가 갤럭시 노트 7 이후로 절치부심하면서 만든 스마트폰 S8이 발표되었다. 스마트폰의 흐름은 삼성전자와 LG전자 모두 화면 면적의 극대화 스마트폰 크기의 최소화라는 것을 중점으로 삼았던 듯하다. TV에서 베젤이 극한으로 줄어들듯 말이다. 삼성전자의 빅스비는 지금 당장 경쟁력이 되어주지는 못한다. 학습이 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건 애플의 시리건 아마존의 알렉사건 모두 겪었던 시간이기에 빅스비 또한 그래야 한다. 다만, 중요한 점은 LG전자가 구글의 힘에 온전히 의존하는 것과 달리 직접 길을 만들.. 2017. 4. 3.
라이브 방송의 핵심 서비스 채팅으로 뒤쫓는 유튜브와 카카오, 쫓기는 아프리카 TV - 관련 기사아프리카TV 위협하는 '유튜브판 별풍선' 슈퍼챗(링크)실시간 스트리밍 확대하는 유튜브..유튜브표 별풍선 '슈퍼챗' 도입(링크)- 관련 글반복되는 역사 - 아프리카 TV에서 보는 싸이월드의 과거(링크) 동영상 콘텐츠가 증가하고 주력 시장이 된 지도 꽤 오랜 시간이 흘렀다. 하지만 여전히 라디오는 자신만의 영역을 확보하고 있는데 그 이유 중 하나가 청취자와의 교감이라고 생각한다. 청취자가 사연을 보내거나 문자로 방송에 바로 참여하고 심지어 전화 연결까지 하면서 만들어지는 참여의 즐거움. 이것이 강점 중의 하나라고 생각한다. 최근 유튜브는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고 베타 테스트 중이다. 이 기능은 대화 기능으로 실시간 스트리밍 방송 중에 크리에이터와 대화를 나누는 것이며 이 대화를 나눌 때 크리에이터.. 2017. 2. 20.
IoT 시대에 근간이 될 개념 - SCP(Smart Connected Products) 이것은 구글의 미래다. 구글의 음성인식 인공지능 서비스를 사용자와 만나게 하는 1차 관문. 바로 구글 홈이다. 그냥 평범해 보이는 이 작은 스피커가 구글의 미래가 될 수 있는 이유는 구글의 인공지능 서비스와 '연결'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연결'이 없다면 이 제품은 JBL, SONY, BOSS 등 스피커 전문 브랜드에 이길 가능성이 없었을 것이다. 어쩌면 샤오미 제품도 이기지 못했을 것이다. 하지만 '연결' 덕분에 막강한 구글의 제품이 되었다. 마치 마법 세계의 소환과도 같다. - 관련 기사"AI 협력사를 늘려라"..글로벌 AI 업체들 플랫폼 개방으로 영토확장 전쟁(링크) 이제 이 '연결'의 개념에 기본적으로 가정해야 할 개념이 왔다. 구글 홈에서 보듯이 '학습'과 '자동화'다. 단순히 BT 대신에 .. 2017. 2.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