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 아디다스에서 신발 정보를 검색하다가 예전과는 좀 다른 풍경을 보게 되었다. 신발을 커스터 마이징 하는 것이다. 단순히 한 두 제품을 하는 것이 아니라 꽤 많은 제품이 갑피의 스타일과 색, 외부 구조물의 색, 반사 소재의 로고, 안감의 색, 기본 신발끈과 추가 신발끈, 미드솔과 아웃솔 색 선택, 깔창에 네이밍까지 가능하다. 물론 이 제품의 경우 그러며 다른 제품들은 또 다르다.
이 정도 가격이면 최고가의 신발도 아닌데 이런 커스터 마이징을 할 수 있다. 물론 이것을 할 수 있는 근간은 IT 기술의 힘이다. 고객의 주문을 실제 생산현장에서 처리하고 그것을 다시 고객에게 배달하는 것까지 오차 없이 진행해야 하는데 이것을 IT로 하는 것이다.
- 관련 기사
아디다스, 스타트업과 손잡고 3D 프린팅 운동화 출시(링크)
아디다스는 왜 로봇에 신발생산 맡길까(링크)
아디다스, 미국·일본 등 선진국서 운동화 로봇생산 본격화(링크)
아디다스 신발공장의 '유턴'..로봇혁명 힘입어 고향 독일서 생산(링크)
기존 시스템으로는 불가능하니 주문자 생산이 가능한 수준으로 전환하려면 돈이 든다. 하지만 돈이 드는 것 이상으로 회수가 되어야 가능할 텐데 어떻게 가능할까. 단순히 잘 팔리는 것으로는 어렵다. 기업 입장에서 더 긍정적인 것들이 필요하다. 바로 재고다. 기존의 시스템에서는 재고가 남는다. 이것들은 저렴한 가격 일명 떨이로 넘어가게 되고 이는 다시 기업 브랜드에 영향을 준다. 만약 재고라는 개념을 생각하지 않고 기존의 시스템으로 만든다면 잘 팔리게 될 경우 물건을 못 파는 웃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그렇기에 불필요한 생산이 될 수 있는 재고를 염두에 두고 생산한다. 그러나 커스터 마이징을 하면 달라진다. 사용자가 직접 사용자 만족이라는 이유로 최적화된 제품을 만들면 재고는 극도로 떨어지게 될 것이고 이 과정에서 떨이로 팔아야 하는 제품도 없어진다(이론상으로는). 그렇다면 기업은 애초에 재고를 생각하지 않는 원하는 가격으로 팔 수 있다. 재고가 없고 떨이도 없이 팔 수 있는 제품. 그렇지만 사용자의 만족도를 극도로 높인 제품. 그런 제품이 지금 준비되고 있는 것이다.
물론 모든 제품이 그렇게 다품종 소량이 되지는 않을 것이다. 꾸준하게 팔리는 제품은 소품종 대량으로 해도 문제가 없으며 이 과정에서 비용은 낮추고 품질 관리도 더 장점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기업의 생산이라는 관점에서 IT는 이전과는 급이 다른 생산을 할 수 있게 하는 시대를 열고 있다.
* 이미지는 서비스 화면 캡처입니다(사진 1).
'윤's > 기업 전략' 카테고리의 다른 글
UX 디테일의 마지막 지점 - 라스트 마일 (0) | 2017.07.24 |
---|---|
7P와 쿠팡맨 그리고 CSR (0) | 2017.04.17 |
앞으로의 스마트 기기를 위한 UX 이해 - 시각과 음성 (0) | 2016.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