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윤's/┗ 전자 / 모바일

다음 혁명은 어디서 일어나는가 - 인간화의 시작, 오감 인식

by cfono1 2013. 3. 25.

오감(五感)인식 기술이 불러오는 혁신.pdf



인간은 끊임없이 노동력을 대체할 수 있는 수단을 찾아왔다. 가축에서 기계로 말이다(물론 그 과정에서 인간을 말 듣는 기계로서의 노비로 수단으로 삼는 시대도 있었다). 그리고 인간을 닮은 것을 추구해왔다. 인간을 닮으려면 어떤 조건이 필요할까? 인간의 감각을 공유할 수 있어야 한다. 내가 보는 것을 기계도 보고, 내가 냄새를 맡는 것을 기계도 맡을 수 있어야 한다. 이런 인간의 5감이 서로 소통할 수 있어야 진정 인간의 노동력을 대체할 순간이 온다. 그 시대는 올 것이다. 이건 시간이 얼마나 걸리느냐의 문제지 오고 안 오고의 문제는 아니다. 그럼 그 과정에서 어떤 과정을 거치게 될까? 이 관점은 산업의 발전에도 매우 중요하다.


난 시각이 제일 먼저 그리고 가장 많은 발전을 이루리라 생각한다. 우리가 습득하는 정보 대다수가 시각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그렇기에 스마트 기기에 가장 먼저 달린 정보 인식 도구(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넘어가는 과정)가 바로 렌즈다. 그다음은 무엇일까? 난 이것을 신경 인식이라고 본다. 우리의 신경은 마치 전선과도 같이 연결되어 있다. 



뇌와 척추를 지나 온몸 구석구석 깔린 이 전선을 따라 전기적 신호들이 쉴 새 없이 움직이며 정보를 전달한다. 바로 이것이다. 전기적 신호를 주고받는다는 점에서 기계와 다를 것이 없는 구조다. 시각을 제외한 촉각, 후각, 미각, 청각을 생각해보자. 촉각을 발전시켜서 어떻게 쓸 수 있을까? 촉각을 재현하려면 촉각의 재질을 재현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는 물질마다 고유의 분자구조가 있어 정말 쉽지 않다. 후각은 중요한 정보이기는 하지만 이것이 대중적인 혁신을 가져오거나 시각만큼의 중요도를 가지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미각 또한 후각과 마찬가지다. 청각은 인간의 언어능력과 연관되는 중요한 부분이다. 하지만 인간의 정보 습득은 시각을 통해서가 압도적이고 그 이후가 청각이다. 만약 우선순위를 정하게 된다면 시각이 모든 감각 중에서 우선한다 할 수 있다(다른 감각이 하찮다는 의미가 아니다). 



2004년에 개봉된 영화 아이, 로봇의 주인공은 사고로 팔을 다치고 기계의 도움으로 정상인으로 살아간다. 자기 생각대로 팔을 움직이는데 여기서 필요한 기술은 어떻게 하면 인간의 뇌에서 나오는 전기적 신호를 감쪽같이 기계로 전달하느냐는 것이다. 이 기술이야말로 장애인 주인공을 평범하게 살아가게 하는 힘이다(그리고 그다음 기술이 압력을 감지하는 촉감일 것이다. 물건을 쥘 때는 부수지 않고 땅을 디딜때는 적절한 균형을 알아야 하기 때문이다). 


난 혁신이라 인정할 때의 전제 조건 중 하나가 가장 많은 사람에게 변화를 주는 것으로 생각한다. 시각과 신경 기술은 그런 면에서 우리의 삶을 바꿀 가장 우선순위이며 그렇기에 가장 산업적 파급효과가 크고 넓은 부분이다. 모든 자원이 풍족하지 않다면 전선을 좁혀서 가장 필요한 것을 하는 게 기업에는 자원의 집중도를 높이고 사용자에게는 효용성을 높이는 방법일 것이다.   




* 이미지는 구글 검색과 다음 영화를  활용했습니다(사진 1, 사진 2).


이 글은 아이에데이에 뉴스 스토리 / IT 칼럼에도 기고(링크)됩니다.


* 의미있는 보고서긴한데 제가 소화를 잘 못한것 같습니다. 글을 쓰면서도 그리고 쓰고나서도 좀 그렇군요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