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윤's/기업 전략

기술 이전에 돌아봐야 할 가치, 인문학

by cfono1 2011. 8. 29.
지금 대한민국 최대의 이야깃꺼리는 최근 거대 IT 기업의 결단에서 오는 두려움이다. 구글은 모토로라를 통해 하드웨어로 나아갈 것을 결심했고 HP는 하드웨어라는 짐을 덜어낼 것을 결심했다. 한국의 IT 제조업체는 이런 결단에 이도 저도 하지 못한 채 자신를 위안할 뿐이다. 왜 이렇게 되었을까? 오늘은 그에 대한 이야기다.


인문학이 이렇게 주목받게 된 것은 스티브 잡스의 역할이 매우 크다. 그의 기술과 인문학에 대한 접목이라는 말은 이제 누구나 공감하는 하나의 흐름이 되었다. 한국은 어떨까? 이렇게 예를 들 수 있지 않을까 싶다. 기기 간 근거리 무선통신에 블루투스와 와이파이가 있다(기술적 설명을 하는 것이 아니니 나머지는 생략한다). 한국의 기업은 어떻게 하면 조금이라도 더 빠른가만을 고민했다. 애플은 어떻게 하면 더 편리할 것인가를 고민했다. 둘의 입장이 같을까? 아니다. 사용자에 대한 배려와 고민, 경험 이것이 있느냐 없느냐의 차이다. 빠르기만 빠르지 이것으로 무엇을 할지 모른다면 소비자에게 어떻게 다가갈 것인가? 기술의 차이가 증기기관차와 KTX의 차이가 아닌 상황에서 이러한 단순 경쟁이 무슨 의미가 있을까? 모두가 KTX급이라면 열차를 타면서 느끼는 쾌적함과 경험이 경쟁의 주요 쟁점이 된다. 

이런 상황에서 이제 한국의 IT 제조업체가 인문학을 주목한다. 그럼 무엇부터 바꿔야 할까? 당연히 인사구조다. 경영과 인문학의 결합은 단순한 단어 조합이나 전문가 몇 명 쓴다고 바뀌는 것이 아니다. 이러한 고민을 해도 괜찮다 또는 격려할 수 있는 환경은 조직원에 대한 인사 평가와 신입 사원 선발 전반에서 시작되어야 자연스럽게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고민으로 이어질 수 있다. 기술과 인간의 조합과 연결을 고려한 서비스와 제품을 생각하는데 그것이 허튼짓이라고 평가한다면 누가 그것을 시도하겠는가? 상상력과 창의력을 통해 미래를 바꾸는 것은 인간이다. 기술을 만들어 내는 것도 인간이다. 그러므로 사람을 쓰는 인사구조에 가장 먼저 인문학이 스며들어야 한다. 

그다음에 고민해야 할 것은 무엇일까? 기업에 대해 고민을 했다면 사회와 자본주의의 틀 속에서 고민해야 한다. 그럼 이러한 고민에 도움이 될 인문학적 소재는 무엇이 있을까? 아시아적 가치를 이어가되 자본주의에 대한 고민을 담은 인문학적 소재 말이다. 난 이것이 실학이라고 생각한다.


아시아적 가치인 유학과 연결 되어 있으면서도 상업의 발달과 사회구조의 변화를 고민하고 새롭게 발전시키고자 했던 실학(자세한 설명 - 링크). 글자에 얽매이는 것이 아닌 백성(국민)의 삶을 고민하며 이상과 현실의 차이를 줄이고자 했던 학문 말이다. 

관련 글 - 조선을 구한 13인의 경제학자들(링크)

이제는 사람이 중심이다. 만들어 놨다고 해서 다 팔리는 시대는 지났다. 부품 산업이 발전하면서 최종 하드웨어의 격차는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 누가 더 사람을 잘 이해하고 반영하는가의 경쟁이다. 이번만큼은 인문학을 한때의 경영 트렌드로 삼을 것이 아니라 혁신과 생존을 위한 방법으로서 진지하게 접근하여 주길 바란다.



* 이미지는 구글 검색을 활용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