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윤's/┗ 전자 / 모바일

타이젠 보다 더 가까운 삼성전자의 미래 - 녹스

by cfono1 2014. 4. 21.

하드웨어 업체인 삼성전자에 영향력을 확대하고자 하는 것은 오랜 꿈이었다. 타이젠은 그런 꿈의 증거다. 바다가 그러했고 타이젠이 그러했다. OS에 대한 노력 이것 자체를 부정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런 노력으로 폰을 만들려고 했으나 폰은 만든다고 끝이 아니다. 이걸 써줘야 하는데 그것에 걸맞은 통신사 파트너를 찾지 못했고 시간만 흐르면서 오히려 우분투나 파이어폭스 같은 존재가 더 인정받고 있다. 



하지만 그렇게 노력한 삼성전자인 만큼 쉽게 포기할 수도 없었고 그 시도는 웨어러블에 타이젠을 넣는 것으로 시작했다. 스마트폰처럼 스마트 기기의 허브가 되는 기기를 바로 장악하기는 어려우니 이제 막 시장이 형성되는 웨어러블 쪽에서 치고 나가 보자는 것이었다. 하지만 이 계획 또한 딱히 좋은 계획이라 하기 어려워졌다. 구글이 더 본격적으로 나섰기 때문이다. 안드로이드 OS 간의 호환성, 구글 서비스 간의 안정성, 구글 플레이를 통한 유통채널... 어느 하나 할 것 없이 타이젠보다 모두 우위다. 게다가 이를 잘 만들어주겠다는 모토로라와 LG전자의 참여는 더 위협적이다. 굳이 타이젠이 들어간 삼성전자의 제품이어야 한다는 이유가 더 없어진 것이기 때문이다.

관련 글 - 2014 MWC 삼성전자의 타이젠과 웨어러블 그리고 플랫폼(링크)
              영리한 구글의 또 다른 시도 - 안드로이드 웨어(링크)

여기서 삼성전자는 깨달아야 한다. 일단 하드웨어라는 영역을 확보했으면 운영체제와 유통채널 둘 줄 무엇을 먼저 가져야 하는지에 대해서 말이다. 결론은 물론 유통채널이다. 생각을 해보자. 운영체제는 강력한 힘이다. 하드웨어와의 조합을 통해 어떻게 발전할 수 있는지는 애플이 잘 보여준다. OS 수정판을 통해 배터리 효율성을 높이는 것은 하드웨어와 운영체제 둘 다 하는 기업의 강력한 장점 중 하나다. 그러나 결국 사용자의 쓰임새를 만들어 내는 것은 유통채널이다. 이 유통채널을 통해서 유입되는 다양한 콘텐츠가 사용자로 하여금 쓸 이유를 만들어낸다. 그렇다. 운영체제와 유통채널 둘 중 하나를 택해야 한다면 삼성전자가 택해야 하는 것은 유통채널이다. 그리고 그 열쇠를 이미 가지고 있다. 바로 녹스다.


스마트 기기가 대중화됨에 따라 개인과 기업용을 나누기보다는 하나의 기기에서 두 개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 비용과 편의성 측면에서 이익이라는 것이 지금의 흐름이다. 그리고 삼성전자의 녹스는 그것에 대응하기 위해 기업용에 특화된 성격을 가지고 있다. 


관련 기사 - MWC서 삼성전자가 보안기술 광고에 열심인 까닭..'녹스' 앞세워 기업용 스마트폰 시장 '노크'(링크)


특화된 성격에서 자리를 잡는다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구글 크롬을 생각해보자. 단순히 웹 브라우저로 시작했던 크롬은 웹스토어로 확장하고 이제는 운영체제로서의 자리까지 넘본다. 이것이다. 쓰임새가 되는 유통채널의 관문을 장악하면 그것을 바탕으로 독자적인 영역을 확보하며 그것을 바탕으로 운영체제를 시도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런 상황을 볼 때 운영체제만 있고 그것을 바탕으로 사용자를 만족하게 해줄 콘텐츠가 없는 타이젠 보다는 자신의 확고한 영역이 있고 특화된 시장에 맞게 소비자의 요구사항이 분명하며 대규모 거래가 가능한 녹스가 운영체제 - 하드웨어 - 유통채널의 구조를 완성하는데 훨씬 가까운 위치에 있다. 


운영체제는 물론 중요하다. 하지만 쓰임새를 갖추는 물건이 되는 것은 더 중요하고 기본적인 것이다. 시간이 다하기 전에 가지고 있는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는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다. 



* 이미지는 구글 검색입니다(사진 2)


* 이 글은 아이에데이 IT 관련 미디어에도 기고(링크)됩니다.